SK플래닛은 변화하는 소비자 니즈와 트렌드에 맞춰 24년된 OK캐쉬백 서비스를 웹 2.0(온·오프라인)과 웹 3.0(가상세계)을 넘나드는  멤버십 모델로 리브랜딩 한다고 7일 밝혔다.

이를 위해 SK플래닛은 ▲OK캐쉬백의 가치를 가상경제로까지 확장한 OK캐쉬백 대체불가능한토큰(NFT) 멤버십 서비스 '로드투리치(Road to Rich)'와 ▲NFT 등 디지털 자산을 보관·조회·전송할 수 있는 탈중앙화 지갑 '업튼 스테이션'을 론칭한다.

'로드투리치'는 사용자가 직접 혜택을 키우고 설계하며 교환할 수 있다. 토끼를 닮은 캐릭터 NFT 래키의 부자 되기 위한 여정이 총 5단계 레벨로 구성됐다. 사용자는 매일 게임·퀴즈에 참여해 래키의 여정을 함께 체험하면서 OK캐쉬백 포인트 등 혜택을 받게 된다.

NFT 캐릭터를 최고 레벨까지 성장시킨 후에는 실생활에서 사용 가능한 개별 혜택을 담은 아이템 '템(TEM)' NFT를 사용자가 선택하고 누릴 수 있도록 했다.

OK캐쉬백 NFT 멤버십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필수적으로 '업튼 스테이션'을 설치해야 한다. 업튼 스테이션은 NFT 등 자산을 보관, 조회,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탈중앙화 지갑이다. 앞으로 사용자에게 다양한 서비스 가치를 제공할 SK플래닛 블록체인 사업의 핵심 상품이다.

특히 이번 서비스는 SK플래닛이 아발란체 서브넷을 활용해 자체 개발한 블록체인 플랫폼 '업튼(UPTN) 생태계'에 처음 안착시킨 서비스다. 하반기 출시 예정인 '티켓 NFT'를 비롯 다양한 실물경제와의 최적화를 통해 블록체인 기반의 다수 프로젝트들이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SK플래닛이 선보인 'OK캐쉬백 NFT 멤버십'은 기존에 출시된 NFT처럼 투자만을 목적으로 하거나, 선착순 민팅(Minting)이라 부르지만 1초면 마감돼 결국 특정인 만의 잔치로 끝나버리는 한정된 NFT가 아니다.

SK플래닛의 '로드투리치' 서비스 에피소드 1 에서는 만 19세 이상, OK캐쉬백 회원이라면 누구나 'OK캐쉬백 NFT 멤버십'을 무료로 민팅할 수 있도록 전면 개방했다. 'OK캐쉬백 NFT 멤버십'이 블록체인 세상으로 이끄는 마중물이 될 수 있도록 최대한 많은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것. 회사 측은 가치 소비를 지향하는 합리적인 사용자들이 많이 참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는 OK캐쉬백이 1999년부터 24년간 경제 활동 인구 중 상당수를 유실적 회원으로 확보,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범용성을 기반으로 한 로열티 멤버십의 대중화를 이끌어 낸 서비스 업력과 맥을 같이 한다.

하반기에 선보일 에피소드 2의 경우 사용자는 미션 참여나 구입을 통해 갖고 싶은 혜택이 담긴 '템(TEM) NFT'를 획득하고, 필요시에는 N차 거래로 재유통하는 등 보다 입체적인 모습의 '다이나믹 멤버십' 서비스가 구현될 예정이다.

OK캐쉬백 NFT 멤버십의 또 다른 특징으로는 퀴즈와 게임 요소를 접목해 사용자가 능동적으로 레벨을 높이는 데 참여하고 지속적으로 몰입할 수 있게 하는 '게이미피케이션' 형식으로 구성했다는 점이다.

퀴즈, 게임 등 미션을 수행하며 캐릭터가 성장하는 과정을 자연스럽게 따라가다 보면 OK캐쉬백 포인트 등 합리적인 보상도 주어지기에 앱테크 수단으로의 활용도 가능다.

무엇보다 이 모든 혜택과 여정은 업튼 체인에 기록돼 사용자 소유의 의미를 구현한 점도 눈에 띈다. 향후 제공될 마켓플레이스에서는 혜택의 소유권을 다른 고객에게 안전하게 이전할 수도 있어 쓰임새는 웹 2.0 서비스에 비해 더욱 다양해질 것으로 보인다.

이한상 SK플래닛 대표는 "이번 서비스는 24년된 OK캐쉬백의 장점은 살리면서 사용자 중심의 맞춤 혜택과 권한을 강화시킨 OK캐쉬백의 리브랜딩 버전"이라면서 "참여와 합리적 보상이 근간이 되는 차세대 마케팅 플랫폼으로서 서비스 가치를 더욱 키워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