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 중앙화 거래소(CEX) FTX의 실패에 많은 이용자와 자금이 '탈중앙화금융(DeFi, 디파이)'으로 이동하고 있다.


15일 기준 데이터 분석 플랫폼 난센에 따르면 바이낸스, OKX 등 대형 CEX에서는 대규모 자금 유출이, 디파이 프로토콜에서는 대규모 자금과 이용자 유입이 확인되고 있다.


이용자들이 CEX보다 암호화폐를 안전하게 보관하고 거래할 방안을 모색하는 가운데, 지난 7일간 많은 디파이 프로토콜들이 이용자 수 및 거래량 기준 두 자릿수 성장을 경험했다.


코스모스 블록체인 생태계 기반 탈중앙화 거래소(DEX)인 dYdX는 이용자가 99%, 거래량이 136% 증가했다. 이는 dYdX 토큰 시세에도 반영돼 70%가 넘는 상승 움직임을 연출했다. 탈중앙 대출 플랫폼 에이브(Aave)는 이용자가 70%, 거래량이 99% 증가했다.


최대 DEX 유니스왑은 월 이용자 수가 19%, 거래량이 21% 증가했다. 듄애널리틱스 통계에 따르면 유니스왑은 지난 한 주 동안 처리한 거래량은 203억 달러(한화 약 28조원) 상당이다. 전체 탈중앙화 거래소(DEX)의 주간 거래량은 310억 달러(한화 약 41조원)를 기록했다.


한때 유니스왑의 이더리움 일간 거래량은 9000억 달러(한화 약 1197조원)에 육박해 코인베이스, OKX, 게이트아이오의 종합 거래량을 넘어서기도 했다.


현재도 CEX 코인베이스를 제치고 두 번째로 큰 이더리움 보유 플랫폼 자리를 지키고 있다.


헤이든 애덤스 CEO는 트위터를 통해 "DEX가 CEX를 대체하기 시작한 것인가"라면서, ETH/USD(또는 스테이블코인)의 총 거래량 기준 ▲바이낸스 19억 달러 ▲유니스왑 11억 달러 ▲코인베이스 6억 달러를 기록하고 있다고 밝혔다.


유니스왑 웹 애플리케이션의 하루 신규 거래 지갑 수는 5만5550개로, 올해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거래소는 트위터를 통해 "자가 수탁과 투명성이 요구되면서, 이용자들이 자신이 알고 신뢰하는 거래소로 몰리고 있다"고 밝혔다.

 

반대로 CEX에서는 대규모 자금 유출이 발생하고 있다. 바이낸스는 일주일 동안 약 14억4000만 달러(한화 약 2조원)가 빠져나가 거래소 중 가장 큰 순유출을 경험했다.


OKX에서는 12억4000만 달러(한화 약 1조6500억원)로, 두 번째로 큰 자금 유출을 겪었다. FTX는 9억 달러(한화 약 1조2000억원) 크라켄은 5억8600만 달러(한화 약 7800억원)의 자금 유출이 있었다.


지난 일주일 동안 OKX, FTX, 크라켄, 쿠코인, 코인베이스, 후오비, 게이트아이오, 제미니, 팍소스, FTX US, 크립토닷컴에서 총 63억3000만 달러(한화 약 8조4200억원)의 순유출이 발생했다.


한편, 해당 데이터는 이더리움과 이더리움 기반 ERC-20 토큰 관련 자금만 집계한 결과다.


대규모 자금 유출은 CEX에 대한 이용자 신뢰가 크게 손상됐으며, DEX가 제공하는 자가 수탁(self-custody)과 투명성의 중요성을 느끼기 시작했다는 것을 시사한다.


이용자들은 CEX와 달리 DEX에서는 자기 자금에 대한 통제력을 유지하는 가운데 암호화폐를 거래할 수 있어 인출 동결, 네트워크 차단에 대한 위험 부담이 덜하다고 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