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대표 가상자산 거래소 업비트가 카카오 및 애플 ID 로그인 방식에서 벗어나 자체 로그인 서비스를 시작했다. 이를 통해 업비트 애플리케이션을 벗어나지 않고도 로그인이 가능해졌을 뿐만 아니라 웹 로그인도 QR코드 스캔으로 변경돼 빠르고 편해졌다. 내달 21일부터는 기존 로그인 방식은 허용되지 않고 업비트 로그인으로만 업비트를 이용할 수 있다.
업비트를 운영하는 두나무는 31일 '업비트 로그인' 방식을 도입했다고 31일 밝혔다. 업비트 이용자는 이날부터 업비트 로그인을 통해 업비트 앱에 로그인할 수 있다. 업비트 로그인은 휴대전화 및 은행 계좌 인증을 한 이후 이용할 수 있다. 업비트 로그인을 위해 별도 프로그램이나 앱을 설치하지 않아도 되며, 본인 인증을 통해 발급된 PIN 비밀번호(6자리) 혹은 생체 인증(페이스 아이디, 지문)만으로 로그인이 가능하다.

기존 로그인 방식보다 훨씬 간편해지는 셈이다. 특히 웹 로그인은 더욱 쉬워졌다. 기존 카카오 계정 로그인은 카카오 계정 로그인 이후 또 카카오톡으로 인증번호를 받아서 입력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하지만 31일부터 QR코드 로그인을 도입, 업비트 앱으로 웹상 QR코드를 스캔하면 로그인이 가능하다.
두나무는 기존 이용자가 로그인 방식을 전환할 수 있도록 11월 20일까지 기존 소셜 로그인도 허용한다. 다만 11월 21일부터는 업비트 로그인을 통해서만 로그인이 가능하다.
다만 두나무는 카카오 로그인 및 애플 ID 로그인 방식이 사라진 것일뿐, 2채널 인증은 그대로라는 점도 강조했다. 원화 입출금과 모바일 앱에서의 디지털 자산 출금을 위해서는 2채널 인증이 필수다. 업비트는 카카오페이, 네이버 인증서 간편인증을 지원해왔다.

두나무 관계자는 "새로운 로그인 방식을 통해 이용자가 더 쉽고 편리하게 업비트를 이용할 수 있게 될 것"이라며 "보안도 더욱 강화돼 소중한 자산을 안전하게 거래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한편 두나무는 지난 17일 업비트 공지사항을 통해 지난 15일 카카오 데이터센터 화재로 인한 장애로 불편을 겪은 회원들을 대상으로 특정 기간(3일간) 동안의 거래 수수료를 비트코인으로 페이백 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힌 바 있다. 업비트의 과실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보상을 결정한 것이다.
업비트는 이번 자체 로그인 도입으로 외부 요인으로 인한 리스크를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