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컴퓨팅의 새로운 시대가 시작되는 날이다"

팀 쿡 애플 최고경영자(CEO)가 5일(현지시간) 열린 세계 개발자 대회(WWDC 2023)에서 개인용 컴퓨터(PC)와 모바일 시대를 잇는 새로운 차세대 디바이스 '비전 프로'를 공개했다.


팀 쿡의 '원 모어 싱'…공간 컴퓨팅을 향한 새로운 도전

이 날 팀 쿡 CEO는 고(故) 스티브 잡스 애플 창업자가 애플 이벤트에서 결정적인 순간에 즐겨 사용하던 "원 모어 씽(One more thing)" 문구를 소환하며 비전 프로를 선보였다. 비전 프로는 팀 쿡이 이끄는 애플이 선보인 완전히 새로운 카테고리의 디바이스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사진=행사 영상 캡쳐
/사진=행사 영상 캡쳐

그동안 팀 쿡 CEO는 증강현실(AR)의 중요성을 지속적으로 강조해왔고, 이는 비전 프로를 통해 비로소 '공간 컴퓨팅'이란 모습으로 구현됐다. 그동안 개인용 컴퓨팅 시대를 연 '맥', 모바일 컴퓨팅 시대를 이끈 '아이폰' 등을 개발한 애플이 내놓은 새로운 패러다임이다.

팀 쿡 애플 최고경영자(CEO)는 "수십 년간의 애플의 혁신을 기반으로 구축된 비전 프로는 혁신적이고 새로운 입력 시스템과 수천 가지 획기적인 혁신을 통해 이전에 제작된 제품과 달리 몇 년 앞서 있다"며 "사용자에게는 놀라운 경험을 제공하고 개발자에게는 흥미롭고 새로운 기회를 제공한다"고 말했다.


비전 프로, 기존 헤드셋과 무엇이 다른가

비전 프로의 외형은 기존 가상현실(VR) 헤드셋과 크게 다르지 않은 고글형이다. 하지만 애플은 이 제품이 다른 제품들과는 완전히 다르다는 점을 강조했다.

비전 프로를 쓴 사용자 눈 앞에는 사파리, 포토, 메일, 메시지, 키노트, 애플TV, 애플뮤직 등 아이폰에서 익숙하게 보던 앱들이 떠오른다. 실제 눈앞에 보이는 공간에 띄워진 가상의 화면들은 실제와 같이 그림자와 거리감까지 표현된다. 제품 상단의 디지털 크라운을 통해 현실 공간을 일부, 혹은 완전히 가상의 배경으로 바꿀 수도 있다.

/사진=애플 제공
/사진=애플 제공

비전 프로는 '메타퀘스트' 등과 같은 VR 헤드셋과는 다르게 별도의 컨트롤러 없이 눈과 손, 음성으로 조작할 수 있다. 마치 영화 '마이너리티 리포트'의 장면처럼 눈 앞에 띄워진 3차원 4K 디스플레이를 손으로 조작하고, 말로 검색어 등을 입력할 수 있다. 비전 프로의 전면은 고글 안의 사용자의 시선을 외부 사람이 볼 수 있도록 만들어졌으며, 앱 사용 중에는 별도의 그래픽을 띄워 준다.

비전 프로는 인터넷 검색이나 메일 작성, 영상 편집 등의 작업을 실제 공간 상에 띄워 할 수 있다. 아이폰, 아이패드, 맥 등과 연동해 화면을 띄울 수 있으며, 특히 '페이스타임'을 통해 다른 애플 기기들과 실시간 화상 채팅이 가능하다. 애플 측은 이런 기능을 원격근무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고 소개했다.

가정에서는 사진이나 영상을 감상하는 용도로 쓸 수 있고, 공간 영상이나 사진을 직접 남기는 일도 가능하다. 또 30m까지 확대할 수 있는 초대형 스크린과 공간 음향을 지원해 영화 감상이나 게임 등 콘텐츠 소비에도 뛰어나다는 설명이다. 이를 위해 애플은 자사의 실시간 동영상 서비스(OTT) '애플tv 플러스' 뿐만 아니라 '디즈니 플러스'와의 콘텐츠 협업도 발표했다.


애플의 첨단 기술력 결집…가격 허들 넘을까

비전 프로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에서도 애플의 기술력을 결집했다. 이 제품은 무게를 줄이기 위해 최경량 소재를 사용했고, 전면은 카메라 및 센서용 렌즈 역할을 하는 유리로 감쌌다. 얼굴을 감싸는 맞춤형 알루미늄 합금 프레임과 부드러운 직물로 만들어진 밴드, 공간 음향을 제공하는 오디오팟 등은 인체공학적으로 섬세하게 배치했다는 설명이다. 당초 알려진대로 맥세이프와 유사한 외부 충전방식을 채택했고, 2300만개의 픽셀로 이뤄진 마이크로 OLED 기반의 8K(눈 한쪽 당 4K) 디스플레이를 장착했다.

제품 전면에는 카메라와 라이다(LiDAR) 스캐너를 비롯한 각종 센서들이 제스처 인식과 눈 움직임 추적, 모션 감지 등을 수행하며, 이를 기반으로 실시간 3D 매핑 등을 수행한다. 비전 프로 안에는 맥북과 같은 'M2' 프로세서 외에 카메라와 센서, 마이크 등의 입력을 처리하기 위한 별도의 'R1' 칩이 탑재됐다. R1 칩을 기반으로 비전 프로는 레이턴시(지연)를 최소화하고, 눈 깜빡임보다 8배 빠른 12밀리세컨드(ms, 1000분의 1초)마다 새로운 이미지를 갱신한다.

/사진=애플 제공
/사진=애플 제공

애플은 비전 프로를 위한 별도의 운영체제인 '비전OS'도 공개했다. 비전OS는 기존 iOS, iPadOS, macOS 등을 통합해 그 위에 공간 컴퓨팅에 최적화된 다양한 기술들을 접목했다. 이릍 통해 현재 앱스토어에 존재하는 수십만개의 앱들을 곧바로 활용할 수 있으며, 개발자들은 기존에 익숙한 개발도구를 통해 비전 프로용 앱을 개발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와 더불어 비전 프로는 홍채를 기반으로 한 새로운 보안 인증 방식인 '옵틱ID'를 채택했다. 

애플은 비전 프로가 '가장 진보된 개인용 전자 장치'라고 강조하며 개발 과정에서 5000개 이상의 특허를 출원했다고 설명했다. 마이크 락웰(Mike Rockwell) 애플 기술 개발 그룹 부사장은 "우리 최초의 공간 컴퓨터를 만들기 위해서는 시스템의 거의 모든 측면에 걸쳐 발명이 필요했다"며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긴밀한 통합을 통해 우리는 지금까지 가장 발전된 개인용 전자 장치인 소형 웨어러블 폼 팩터의 독립형 공간 컴퓨터를 설계했다"고 말했다.

비전 프로는 내년 초 출시되며, 가격은 3499달러(약 456만원)다. 당초 우려를 샀던 가격이 예상보다도 더 비싸게 공개된 점이 대중화의 가장 큰 걸림돌이 될 것으로 보인다. 이날 애플 주가는 행사 전 3% 가까이 상승하며 역대 최고점을 경신했으나, 신제품 공개 이후 상승분을 모두 반납하고 1% 이내의 하락세로 전환했다.